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신청하기

“5년 후, 내 계좌에 수천만 원이 자동으로 쌓인다?”
직장인이 국가와 함께 자산을 만드는 방법, 바로 ‘내일채움공제’입니다.
중소기업 재직자에게만 열려 있는 이 특별한 제도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적립해주는 확실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 재직자의 장기 재직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적 공제 제도입니다.
기업과 정부가 함께 공제금을 적립하고, 장기 재직 시 재직자가 이를 수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누가 가입할 수 있을까?


가입 대상 기업: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제1항에 따른 중소기업
- 일반유흥주점업, 사행시설 운영업 등 일부 업종 제외


가입 제한:
- 휴‧폐업 중 기업 (재해에 의한 휴업은 예외)
-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 기업 (성실 분납 시 가능)
- 공제 약관상 부정수급 이력자, 직장 내 괴롭힘 등 포함 시 제한




가입 절차 안내


내일채움공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신청됩니다.


단계 내용
STEP 01 기업이 대상 재직자 선별 및 은행 선택, 납입금 확정
STEP 02 기업과 중진공 간 공제 협약 체결
STEP 03 중진공이 해당 은행에 재직자 명단 통보
STEP 04 은행이 재직자에게 안내 및 계좌 개설








공제부금 관리 및 납부


공제부금은 다음과 같이 관리됩니다.

  • 기업 공제부금: 중진공이 직접 관리
  • 재직자 납입금: 지정은행(기업은행, 하나은행)에서 관리

기업 납입일: 매월 5일, 15일, 25일 중 택일 가능

재직자 납입일: 은행 계약 성립일 기준 자동이체



중도해지 시 어떻게 되나?


3년 미만 해지 시, 대부분의 납입금은 기업이 회수합니다.
하지만 계약 유지기간이 3년을 초과한 경우에는 ‘월별 안분 계산’ 방식으로 환급됩니다.


구분 조건 해지환급금 귀속
재직자 일반 중도해지 3년 미만 기업 전액 환수
재직자 일반 중도해지 3년 이상 계약 기간에 따른 비율 산정
기업 신청 해지 3년 미만 퇴사 기업 전액 환수
특별 해지 휴업/부도/사망 등 재직자 귀속


해지금 계산 예시


총 공제부금+이자 = 2,100,000원
공제 계약: 60개월
40개월 만에 중도해지 발생 시

→ 2,100,000 x (40 / 60) = 1,400,000원 (재직자)
잔액 700,000원은 기업 귀속



청약철회 & 계약취소


청약철회: 계약 성립 전이라면 언제든 가능 (한쪽이라도 납입 전 상태)
계약취소: 계약 성립 후 1개월 이내, 양 당사자 모두 납입한 경우 가능



Q&A



Q1. 기업이 아닌 개인도 신청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기업과 중진공 간 협약이 체결되어야 하며, 개인 단독 신청은 불가합니다.


Q2. 세금 체납 중인 기업도 가입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불가하나, 세금 분납계획을 성실히 이행 중인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됩니다.


Q3. 재직자가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3년 미만 유지 시 대부분의 기업지원금은 기업이 회수하게 되며, 3년 이상 유지 시에는 월수 계산 방식으로 환급됩니다.


Q4. 은행은 어디서 진행되나요?

지정된 은행은 기업은행 또는 하나은행이며, 해당 은행에서 가입 절차가 진행됩니다.


Q5. 계약 해지 후 재가입이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해지 후에는 일정 기간 재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중복 가입은 불가합니다.



지금이 바로 시작할 순간!


내일채움공제는 단순한 저축이 아닙니다.
국가와 기업, 그리고 당신이 함께 만드는 ‘안정된 미래 재테크’ 전략입니다.
공제 혜택, 세제 혜택, 재직 안정까지 3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기회!
놓치지 마세요.


 

 

 

 






다음 이전